공유기 속도에 관한 지식글
직접 연결시 1G로 나오는거는 실제의 인터넷 속도가 아님니다.. 그냥 아파트 스위치와 랜포트가 1G를 지원하고, 질문자님 유선PC의 랜카드가 1G를 지원하기 때문에 1G로 링크가 된것일뿐.. 그렇다고..인터넷 속도가 100M를 넘어가지는 않습니다.... 광랜은 보통 90M선으라고 보고 있지요..^^(진짜 잘나와야 95정도)그리고, 공유기를 연결할때에 100M로 유선이 나타나는건 인터넷 속도가 1G -> 100M로 떨어진게 아니고,공유기의 랜포트가 10/100을 지원하기때문에 최대 100M로만 링크가 되는것입니다.. 그렇다고 실제적인인터넷 속도가 줄어드는게 다시 한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정 공유기와 연결시 1G로 나오게 하고 싶으시다면,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유무선공유기를 구입하여 연결하시면1G로 나오게 됩니다... 기가비트 공유기를 내놓은데중에는 개인적으로 디링크 DIR-655가 가격대비 성능이괜찮아 보입니다....^^
그리고, 기가비트 공유기가 잘 안나오는 이유는, 첫째가.. 일단 기가비트를 달면.. 가격이 무지 올라가게 됩니다.
둘째가 국내의인터넷 시장이 100M정도만 나오면 충분하기 때문이지요...(둘다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러니 굳이 기가비트를 만들지 않아도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그런듯 합니다.. 만약 우리나라 인터넷이 현재 흔히 광랜급이라고 부르는 100M 짜리 이상의 인터넷이 나오고, 광랜이 보급되는거와 같이된다면.. 그때는 10/100 보다는 10/100/1000 으로 나오는 공유기들이 대부분이 될겁니다..
-------------------------------------------
AS의 경우는 D-Link에 비해 애니게이트가 좋긴하지만.. 제 경우는 특별히 맘에 안든적이 없고,상담하시는 직원분들이 친절하게 잘 해주셔서, 별반 차이가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기본적으로.. DIR-655 와 RG-5500A 의 가장 큰 차이는 MIMO방식의 안테나라고 생각이 됩니다.전체적으로는 거의 동일 하지요....
위의 2X3 이나 3X3이니 이런건 MIMO(Multi-In Multi-Out, 다중 입출력) 동시에 보내는것과 받는것을몇개까지 할 수 있느냐 입니다.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위의 차이는 없다고 생각이 드나.. 거리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안테나의 겟수가 많은게 조금이나마 속도가 덜 저하가 된다는 점 입니다..
그외에 WPS나 WAN,LAN 포트 기가비트 지원은 같다고 보시면 되고,QoS의 경우는 DIR-655가 Ubicom사의 StreamEngine 이라는 기술을 응용해서,Voip -> 동영상 -> 게임 등의 순서를 최대 255로 세분화를 시켜서.. 다른PC에 방해가 되지 않게최대한 트레픽을 분산시켜서 원활히 사용하도록 만든것이며,RG5500A의 QoS는 이번에 lgMy070 AP를 납품하면서 디링크에서 나온 QoS와 비슷하게 만들어서동작을 하게 했습니다... 요 부분은.. 속도가 높은 광랜에서 보다는 속도가 낮은 케이블 모뎀이나 ADSL같은 인터넷쪽으로 갔을때 더욱더 빛을 발휘하는 부분이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RG-5500A에는 예전부터 있던 SuperDMZ라는게 있어서, 공인IP를 PC에 직접 할당을하게 만들어 줘서.. 기존의 DMZ에서 가지고있던 약간의 문제를 해결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단 요걸 걸면, 나머지 포트포워딩 같은걸 사용을 못하는 단점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DiR-655에는 DMZ는 있느나 SuperDMZ 기능이 없어서 약간은 불편할 수 있으나 대부분 DMZ와 포트포워딩을 활용하면 특별히 불편한 것도 없습니다..
없어도 상관없으나 없으면 왠지 손해보는 느낌 때문에.. 디링크에 문의를 해본 결과.. 이번년도 안에 DiractIP라는 이름으로 나온다고 하니..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면 요 부분도 차이가 없을 듯 합니다.
(광고를 보니 DiR-100 유선공유기에는 이미 탑재가 되었더군요..)
전체적으로 본다면.. 디링크 DiR-655가 RG-5500A 에 비해.. 약간은 앞선다고 볼수가 있어서..DiR-655를 추천드림니다.